개발새발
#스프링 MVC 동작 본문
동작 원리부터 적어보자 일단 다 모르지만 나만 볼것이기 때문에 내가 아는걸 적어보자
근래에 공부하면서 가장 많이 본 그림이다 스프링mvc를 공부하면 똑같진 않더라도 비슷한 그림은 무조건 볼거라 생각한다
- 클라이언트가 HTTP메서드를 이용해서 요청
- Dispatcher Servlet이 요청을 받아 핸들러 매핑에게 물어본다 이걸 처리해 줄 수 있는 Controller가 있어??
- 그럼 핸들러 매핑이 알맞은 Controller의 정보를 전달 그 정보를 가지고 핸들러 어댑터에게 일을 부탁한다 "핸들러 어댑터야 이 정보를 가지고 있는 Controller에게 일 좀 시켜줘"
- 핸들러 어댑터가 받은 정보를 가지고 있는 Controller를 호출하여 일을 시킨다 만들어진 결과물을 다시 핸들러 어댑터에게 전달
- 만들어진 정보를 Dispatcher Servlet에게 전달하면 이제 viewResolver 에게 연락한다 "우리 이런정보가 있는데 (화면을)이쁘게 만들고 싶어
- viewResolver가 화면을 만들 수 있는 정보를 전달해 준다
- view가 화면에 대해서 받아온 정보를 보여주고 Dispatcher Servlet가 최종 얻어온 결과물을 반환해준다
내가 지금까지 이해한 과정은 이렇다 계속 공부를하면서 깊게 이해할거다 스프링을 잘하고싶다
서블릿(Servlet)이란?
- 서블릿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도록 특정 규약에 맞추어서 Java 코드로 작성하는 클래스 파일
- 아파치 톰캣(Apache Tomcat)은 이러한 서블릿들이 웹 애플리케이션으로 실행이 되도록 해주는 서블릿 컨테이너(Servlet Container) 중 하나
'스프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PA (0) | 2022.08.04 |
---|---|
#스프링 MVC 2 (0) | 2022.08.04 |
#스프링 MVC (0) | 2022.08.04 |
#DI #AOP # Ioc # PSA (0) | 2022.08.04 |
#서블릿 (0) | 2022.08.04 |
Comments